본문 바로가기

[무비] 잭형 오늘 뭐볼까?

헌트 명품배우의 첩보영화

'헌트' 포스터 / 사진= 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제공 출처

 

헌트 소개

<헌트>는 1980년대 대한민국 대통령 암살을 둘러싼 두 남자의 대결을 그린 영화다. 영화의 배경 특성상 자칫 잘못하면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메시지를 담을 수도 있는데, 기묘하게 피하여 철저히 두 캐릭터의 욕망에만 집중해 '모두 까기' 형태를 취했다. 배우 이정재가 그동안 남자들이 대거 등장하는 일명 뻔한 '알탕' 영화에서 '이것만큼은 절대 안 하겠다!'라는 게 드러난 영화다. 흔히 '선수 입장'이라고 표현하는 어쭙잖은 첩보 장면도 없고, 밑도 끝도 없이 정의로운 주인공, 그런 주인공의 돌발행동을 윗선 핑계 대며 막는 상사, 빌런에게 한판 지고 심기일전해서 다시 반전으로 이기는 전개 등등 뻔한 공식은 하나도 없다. 흥행 공식이라고 불리는 그런 요소들을 드러내고 캐릭터를 완성하고 개연성을 완성해나가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그래서 뻔하지 않으면서도 개연성을 갖추고, 영화만으로도 관객이 충분히 전개와 캐릭터를 이해할 수 있게 만든 영화다. 또한 가 보여주는 보수적인 면모는 단순히 어떤 정당이나 정파, 정치인에 대한 간접적인 지지가 아니다. 많은 이슈가 왜곡하고 있는 청산 대상을 우선 청산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의지 표명에 가깝다. 따라서 너절한 지지 선언과 지겨운 음모론이 가득한 한국의 여러 정치영화 가운데서 독특한 위치를 선점한다.

헌트 스토리

망명을 신청한 북한 고위 관리를 통해 정보를 입수한 안기부 해외팀 박평호와 국내 팀 김정도는 조직 내 숨어든 스파읻 '동림' 색출 작전을 시작한다. 스파이를 통해 대통령 순방 일정을 비롯한 일급 기밀 사항들이 유출되어 위기를 맞게 되자, 해외팀과 국내 팀은 서로를 용의선상에 올린 채 조사에 박차를 가한다. 찾아내지 못하면 자신이 스파이가 되어 제거되는 상황, 돌이킬 수 없는 비밀이 드러난다. 둘은 밑도 끝도 없이 정의로운 주인공이 아니다. 박평호(이정재)는 그냥 평화통일을 이루기 위해 남한의 대통령을 죽이고자 하는 북한의 첩자이고, 김정도(정우성)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학살을 잊지 못해 남한의 대통령을 죽이려는 남한의 군인이다. 둘은 비슷한 힘의 크기로 영화 내에서 팽팽하게 대립한다. 이 영화를 끌어내 가는 두 개의 원동력, 즉 첩보가 누구냐는 것과 대통령 암살이 성공할 것이냐 하는 문제에 둘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토리를 리드한다.

헌트 에피소드

배우 이정재 씨가 직접 감독을 맡은 영화답게 배우들의 인물 특히 얼굴이 화면을 자주 차지한다. 그래서 의 또 다른 매력은 주요 배우들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한다는 점이다. '이것만큼은 안 하겠다'가 보이는 영화라고 했는데, 그래서인지 그동안 뻔해 보였던 배우들도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온다. 대표적으로 배우 황정민이 연기한 캐릭터 귀순한 북한 파일럿이 그렇다. 배우 황정민의 연기는 이후 참 비슷하다고 생각했었는데 그게 순전히 각본과 감독의 탓이었음을 깨달았다. 이스터 에그 찾아내듯 특별 출연한 조우진 배우, 김남길 배우, 주지훈 배우 등을 찾는 것도 작은 재미였다. 영화감독이 배우인 만큼 배우 자체에 집중하는 장면들이 많아 그만큼 배우분들도 외모 관리를 신경 썼다고 한다. 보는 내내 즐거웠던 건 유명한 배우분들이 잠시나마 많이 나와서 재관람하는 재미가 있다. 황정민, 이성민, 유재명, 박성웅, 조우진, 김남길, 주지훈 등등 수많은 연기 조금 한다는 분들이 단역으로 나와 어디 배역을 맡았나 찾아내느라 눈길을 딴 곳에 주질 못했다. 배우가 살린 영화면서도 동시에 연출도 굉장히 다양하게 나왔다. 마치 FPS 게임을 보는듯하게 시점이 바뀌면서 몰입감을 한층 높여서 밀도 있는 장면들로 조금은 즐겼다는 표현이 정확하다. 최근 넷플릭스나 기타 OTT 자체 콘텐츠가 추구하는 연출처럼 트렌디하게 배역을 확실히 살리는 연출이 잘 나타났다. 

잭형의 총정리

이정재 감독은 이동진 기자와의 대담을 통하여 영화의 에필로그에 대해 지금 세대들이 해결할 수 없는 고민을 안고 있는 것은 아닌지, 다음 세대들에게 그저 툭 하니 던져놓을 줄도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고민이 들어있다고 답했다. 이는 어쩌면 한 직종에서 20대를 거쳐 50대에 도래한 이가 자연스레 생각하는 실존적인 고민일지도 모르겠다. 결국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제작되어야 하는 영화라 이에 따르는 각종 비난과 비판은 감수해야 했지만 한국에서 흔히 보기 힘든 액션& 비현실적인 얼굴 비주얼 영화에 초점을 두고 잘 연출해서 논쟁 없이 즐기는 영화로 승화시켰다고 본다. 이정재 감독은 이처럼 자신을 다음 세대를 바라보는 ‘지금 세대’라 규정하고 있지만 그런 그는 지금 세대들에게 여전히 명품 배우이다. 잭형은 7/10 점 주고 싶다.